W house

2023

대지는 30년 전에 개발된 오래된 주거단지에 위치한다. 대지의 북측에 도로가 있으며, 대지에 접한 도로는 서측에서 동측으로 경사가 있다. 대지의 형태는 남북쪽으로 약간 긴 형태의 정방형 형태이다. 도로를 제외한 3면에 기존 건물들이 있어서, 채광과 환기를 위해 중정을 만들어야 하는 것이 주요 고려사항이었다.

대지의 북측이 도로에 접해 있고, 동측의 레벨이 낮은 이유로 동측에 주차장을 배치하고, 건물을 가능한 높은 쪽인 서측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서측에는 2개층의 오픈 공간을, 동측에는 2층에 실외 오픈 공간을 만들어 건물의 모든 공간에 자연광이 유입되고 있다.

건물은 건물 중앙의 실내 공용 공간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2층으로 오픈된 이 공간은 이 주택이 가진 가장 중요한 공간 겸 동선의 연결 역할을 한다. 거실, 주방, 식당, 공부방, 창고, 현관, 각 침실들을 각각의 용도를 가진 건물로 보고, 이들 공간을 연결하는 도로 역할을 하고 있어서, 주택 내부가 작은 도시와 같은 기능을 하고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건물의 입면은 별도로 디자인을 하지 않고, 각 실에서 적정한 창문을 만드는 것 자체로 건물의 표정을 갖는다. 다만, 도로 측인 북측은 창문의 설치를 최소로 하였다. 또한, 1층 입구와 현관이 도로 쪽에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적절한 가벽을 만들어, 건물의 입면을 만드는 요소가 되고 있다.

이 주택에는 3곳의 오픈 공간이 있다. 중정으로 사용되는 실외 2개 층 오픈 공간, 2층 안방 전면의 실외 오픈 공간, 내부의 모든 실을 연결하는 실내의 3개 층 오픈 공간이다. 실외의 오픈 공간은 앞에서 언급했던 자연광 및 환기를 위한 장치이고, 실내 오픈 공간은 모든 실을 연결한다. 3곳의 오픈 공간은 독립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서로 인접하고 있어 다양한 시각적, 공간적인 효과를 공유한다.

이 건물은 완전히 다른 두 건물을 하나로 연결하는 컨셉이다. 두 개의 건물의 중간에 위치한 2개 층 오픈 공간은 두 구조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실내 오픈 공간 전면의 전면 벽에는 1층과 2층 사이에 연결하는 보를 없애서 이런 구조적인 컨셉을 살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