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D주택은 용인 양지의 전원주택지에 위치한다. 도로 측에서 현관까지는 1개 층 정도의 레벨 차이가 있다. 건물의 진입은 도로가 있는 동측에서 하고, 건물의 뒷면(북측)에서 집으로 진입하도록 계획하였다. 동측과 남측의 옥외공간을 많이 확보하기 위하여 서측으로 최대한 붙이고, 북측은 진입을 위한 최소공간만을 확보하도록 했다.
짙은 회색 대문과 우편함, 거칠게 마감된 옥외계단을 통해 오르는 과정을 통해서 흰색 외벽의 건물에 접근함으로써 시각적으로 극적인 효과를 더욱 느낄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건물의 중앙에 중정을 계획하고, 이 중정을 중심으로 각각의 공간이 계획되어 집안의 모든 부분에 햇빛이 도달한다. 중정으로 동측에는 거실, 남쪽으로는 온실을 만들었고, 양쪽으로 손님방과 재택근무공간이 위치한다. 또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중정의 북측에 면해 있으므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다양한 공간을 체험하면서 오를 수 있다.
1층에는 거실, 식당, 주방, 서재 겸 재택공간, 온실, 손님방을 계획하였다. 2층은 주인 침실과 욕실, 옥외 테라스가 있다. 1층 바닥은 도로에서 한 개 층 이상이 올라온 대지이므로 1층의 모든 공간이 외부에 오픈되지만, 도로를 지나는 사람들의 시선으로부터 해방되고 있다. 1층 천장고는 2.7m로 일반적인 층고보다 약간 높게 계획하였다.
용인 D주택은 용인 양지의 전원주택지에 위치한다. 도로 측에서 현관까지는 1개 층 정도의 레벨 차이가 있다. 건물의 진입은 도로가 있는 동측에서 하고, 건물의 뒷면(북측)에서 집으로 진입하도록 계획하였다. 동측과 남측의 옥외공간을 많이 확보하기 위하여 서측으로 최대한 붙이고, 북측은 진입을 위한 최소공간만을 확보하도록 했다.
짙은 회색 대문과 우편함, 거칠게 마감된 옥외계단을 통해 오르는 과정을 통해서 흰색 외벽의 건물에 접근함으로써 시각적으로 극적인 효과를 더욱 느낄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건물의 중앙에 중정을 계획하고, 이 중정을 중심으로 각각의 공간이 계획되어 집안의 모든 부분에 햇빛이 도달한다. 중정으로 동측에는 거실, 남쪽으로는 온실을 만들었고, 양쪽으로 손님방과 재택근무공간이 위치한다. 또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중정의 북측에 면해 있으므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다양한 공간을 체험하면서 오를 수 있다.
1층에는 거실, 식당, 주방, 서재 겸 재택공간, 온실, 손님방을 계획하였다. 2층은 주인 침실과 욕실, 옥외 테라스가 있다. 1층 바닥은 도로에서 한 개 층 이상이 올라온 대지이므로 1층의 모든 공간이 외부에 오픈되지만, 도로를 지나는 사람들의 시선으로부터 해방되고 있다. 1층 천장고는 2.7m로 일반적인 층고보다 약간 높게 계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