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스 산부인과는 일산의 백석역에 위치한다. 건물의 서측에는 기존 본관이 있고, 남측과 북측에는 도로에 접해 있다. 동측은 6m의 좁은 도로가 있다. 대지는 정남향의 직사각형 형태이었으므로 별다른 고려없이 정남향으로 건물이 배치되었다. 기존의 본관과 인접하여 있으므로 새로 건축되는 건물과 기존의 건물과의 연결이 주요 설계과제 중의 하나였다.
동측으로 코어를 배치하고, 서측의 기존 건물과의 연결부분에 ㄷ자 형태의 내부평면이 되도록 거대한 오픈공간을 만들어 큰 건물이 가지는 답답함을 해소하였다. 이 공간을 통해 본관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동선이 만들어지므로 재미있는 공간을 경험할 수 있다. 내부의 벽체에 가능한 유리를 사용하여 자연광이 실내까지 유입되도록 계획하여, 병실의 화장실에도 자연광이 도달한다.
기존 건물과 연결이 되는 2,3,4,5층은 본관의 층고와 같이 계획되었으므로 층고가 낮지만, 그 외의 층은 가급적 높은 천장고를 확보하도록 하였다. 병실 및 산후 조리원 개실은 아늑한 느낌이 들도록 적절한 천장고를 확보했다. 의료시설인 이유로 기능적인 치수를 기준으로 계획하였다. 1층의 높은 천장고는 4.5m로 설계하여, 건물의 상징적인 메인 공간이 되도록 계획하였다.
내부 마감재는 자작나무 합판과 아이보리색의 최고 품질의 외산 친환경 도장으로 마감하였다. 산부인과라는 특수성에 맞도록 내부에 사용되는 벽체, 천장재 모두를 친환경 페인트를 적용하였을 뿐 아니라, 문짝, 붙박이가구, 식탁, 테이블, 탁자 등에도 공통적으로 친환경 페인트를 사용하였다.
그레이스 산부인과는 일산의 백석역에 위치한다. 건물의 서측에는 기존 본관이 있고, 남측과 북측에는 도로에 접해 있다. 동측은 6m의 좁은 도로가 있다. 대지는 정남향의 직사각형 형태이었으므로 별다른 고려없이 정남향으로 건물이 배치되었다. 기존의 본관과 인접하여 있으므로 새로 건축되는 건물과 기존의 건물과의 연결이 주요 설계과제 중의 하나였다.
동측으로 코어를 배치하고, 서측의 기존 건물과의 연결부분에 ㄷ자 형태의 내부평면이 되도록 거대한 오픈공간을 만들어 큰 건물이 가지는 답답함을 해소하였다. 이 공간을 통해 본관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동선이 만들어지므로 재미있는 공간을 경험할 수 있다. 내부의 벽체에 가능한 유리를 사용하여 자연광이 실내까지 유입되도록 계획하여, 병실의 화장실에도 자연광이 도달한다.
기존 건물과 연결이 되는 2,3,4,5층은 본관의 층고와 같이 계획되었으므로 층고가 낮지만, 그 외의 층은 가급적 높은 천장고를 확보하도록 하였다. 병실 및 산후 조리원 개실은 아늑한 느낌이 들도록 적절한 천장고를 확보했다. 의료시설인 이유로 기능적인 치수를 기준으로 계획하였다. 1층의 높은 천장고는 4.5m로 설계하여, 건물의 상징적인 메인 공간이 되도록 계획하였다.
내부 마감재는 자작나무 합판과 아이보리색의 최고 품질의 외산 친환경 도장으로 마감하였다. 산부인과라는 특수성에 맞도록 내부에 사용되는 벽체, 천장재 모두를 친환경 페인트를 적용하였을 뿐 아니라, 문짝, 붙박이가구, 식탁, 테이블, 탁자 등에도 공통적으로 친환경 페인트를 사용하였다.